반응형

Programming 375

ThreadPoolTaskScheduler를 통해 스케줄러 동작 시간 동적으로 변경하기

ThreadPoolTaskScheduler를 통해 스프링 스케줄러 동작 시간 동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기존에는 스케줄링 기능이 필요할 때 '@Scheduler' 어노테이션을 통해 간단하게 스케줄러 기능을 사용했었는데요. 이번에 외부에서 받은 값을 통해 스케줄링 시간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기능이 필요하여 알아보던 중 'ThreadPoolTaskScheduler'를 알게 되어 관련 내용을 직접 테스트해 보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 (생략) (root-context.xml 파일 중 스케줄러 관련 task 설정이며, task 외 부분은 생략되었습니다.) 위 코드는 스프링에서 스케줄러를 사용하기 위해 root-context.xml 파일에 task 관련 설정을 추가한 내용입니다. ThreadPoolTaskSched..

Programming/Spring 2024.01.24

(spring) web.xml, root-context.xml, servlet-context.xml 각각의 역할과 차이점

web.xml, root-context.xml, servlet-context.xml 각각의 역할과 차이점 최근 선언적 트랜잭션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하는 과정에서 'root-context.xml' 파일과 'servlet-context.xml' 파일, 'web.xml' 파일의 역할과 차이점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정리한 내용입니다.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Spring 프로젝트에서 xml 파일은 1.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거나, 2.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데요. 1.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설정하는 xml 파일의 경우에는 빈(Bean)의 생성과 다른 빈에 대한 의존성, AOP 설정, 프로퍼티 설정 등을 포함합니다. (root-context.xml, servlet-co..

Programming/Spring 2024.01.16

mysql mybatis 다중 insert 처리 방법

MySQL MyBatis foreach를 사용한 다중 insert 처리 방법 해당 포스팅은 mysql + mybatis 환경에서 여러 건의 데이터를 insert 해야 할 때 mybatis에서 지원하는 foreach 문을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지만 자바 내부적으로 for 문을 사용하여 1건씩 insert 처리를 하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인 방식입니다.) * mysql의 경우 아래 예시 방식이 적용되지만 oracle 등 다른 RDBMS의 경우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for 문을 통한 방식의 비효율성 public void insertExample1() { List productList = createProduct(2); for (Map productM..

Programming/Spring 2024.01.14

Spring Legacy @Transactional 동작하지 않는 문제 (tx:annotation-driven)

Spring Legacy Project @Transactional 동작하지 않는 문제 해당 포스팅은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Tranactional 어노테이션이 동작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결론적으로 트랜잭션이 동작하지 않았던 원인은 'root-context.xml' 파일과 'servlet-context.xml' 파일에 대한 설정이 잘못되었기 때문이었는데요. * 그중에서도 '' 아래 내용을 통해 트랜잭션이 동작하지 않았을 때의 설정과 어떻게 수정하여 해결하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트랜잭션이 동작하지 않을 때 설정 (root-context.xml) Spring Proejct에서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방법을 찾아보니 대부분 다음과 같이 root-context.xml 파일에 'transact..

Programming/Spring 2024.01.11

eclipse Spring Legacy Project 생성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

eclipse Spring Legacy Project 생성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 '이클립스 환경에서 Spring Legacy Project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아래 두 가지 오류와 해결 방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관련 오류들이 발생하는 가장 주된 원인은 eclipse와 java 버전이 호환되지 않아 발생하는 것이며, sts 버전에 따라서도 원인과 해결 방법이 다를 수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 오류가 발생했던 작업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macOS Monterey 12.5.1 버전 / eclipse 2022-03 (4.23.0) 버전 / Spring Tools 3 (Standard Edition) 3.9.14.RELEASE / Spring Tools 3 Add-On for Spring ..

Programming/Error 2024.01.07

Mac Java version(JDK 버전) 변경하는 방법

MacOS Java version(JDK 버전) 변경하는 방법 해당 포스팅은 'MacOS에서 설치된 Java 버전(Java 환경변수)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Java 환경변수에 대해 일시적으로 설정을 바꾸는 방법이 아니라 'zshrc' 또는 'bash_profile'의 수정을 통해 영구적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zsh와 bash 차이점 'zsh'와 'bash'는 둘 다 리눅스 쉘(Shell)의 한 종류입니다. 쉘은 명령어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로 커널(Kernel)과 사용자 간의 다리 역할을 하며,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그것을 해석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bash'와 'zsh' 둘 다 'sh' 쉘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쉽게 Unix..

Programming/MacOS 2024.01.07

(spring) 싱글톤 객체의 다중 요청 처리 방법

싱글톤 객체의 다중 요청 처리 방법에 대한 의문점 뜬금없이 RestTemplate은 싱글톤 형식의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여 사용되는데 RestTemplate의 특성(blocking + 동기) 상 먼저 들어온 요청에 대한 응답이 늦게 와서 그동안 물려있다면 다음 요청은 먼저 들어온 요청이 완료되고 수행되는 것인가? 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러면 RestTemplate 뿐만 아니라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는 Controller, Service 등의 객체 역시 싱글톤으로 생성되는데,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싱글톤 객체에 대해 다중 요청이 처리되는 방식은 무엇일까?'가 궁금하여 찾아본 내용입니다. 싱글톤(Singleton) 패턴과 사용하는 이유 먼저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과 싱글톤 패턴..

Programming/Spring 2024.01.03

Atomikos를 통한 Multi Datasource Transaction 처리 (전역 트랜잭션)

스프링 부트 다중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처리 (jta-atomikos) 해당 포스팅은 스프링부트 환경에서 다중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할 때 'multi datasource에 대한 트랜잭션 처리'에 대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내용은 크게 스프링에서 지원하는 'ChainedTransactionManager'와 Java에서 지원하는 'JTA(Java Transaction API)'에 대한 내용으로 나뉘며, ChainedTransactionManager의 경우에는 현재 deprecated 된 상태이기 때문에 세부적인 구현보다는 동작되는 방식과 deprecated 된 이유에 대해서만 살펴보고 JTA에 대해서는 Atomikos를 사용한 실제 구현 방식과 트랜잭션 테스트 결과까지 확인해 볼 예정입니다. PlatformTr..

Oracle ROWNUM, ROW_NUMBER() 사용하기 (MySQL LIMIT와 차이점)

Oracle ROWNUM, ROW_NUMBER() 사용하기MySQL에서는 SELECT 문에서 'LIMIT'를 통해 조회할 데이터 결과 값의 로우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반면 Oracle에서는 'LIMIT'가 없기 때문에 결과 값의 로우를 제한하기 위해 'ROWNUM' 또는 'ROW_NUMBER()'를 사용하는데요. 해당 포스팅은 Oracle에서 'ROWNUM' 및 'ROW_NUMBER()'를 사용하는 방법과 MySQL(및 PostgreSQL)의 'LIMIT'와의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MySQL LIMIT, Oracle ROWNUM 사용 방법 비교id (BIGINT or NUMBER)name (VARCHAR)state (VARCHAR)1김학생NORMAL2이학생NORMAL3최학생WITHDRAWAL4박학생N..

Programming/Oracle 2023.12.23

(Oracle) TO_CHAR, TO_NUMBER, TO_DATE 함수 정리

오라클(Oracle) TO_CHAR, TO_NUMBER, TO_DATE 함수 정리 최근에 오라클을 조금 사용해 보게 되면서 그 과정에서 알게 된 'TO_CHAR', 'TO_NUMBER', 'TO_DATE' 함수에 대해 정리한 내용입니다.TO_CHAR먼저 'TO_CHAR' 함수는 날짜, 숫자 등의 값을 문자열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해당 함수의 다양한 변환 방법의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날짜 관련-- 날짜 포맷 변경1SELECT TO_CHAR(SYSDATE, 'YYYYMMDD') -- 20231216 , TO_CHAR(SYSDATE, 'YYYY/MM/DD') -- 2023/12/16 , TO_CHAR(SYSDATE, 'YYYY-MM-DD') ..

Programming/Oracle 2023.12.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