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ogramming/Error 27

CannotLoadBeanClassException: Cannot find class 오류 발생 원인 및 해결 방법

CannotLoadBeanClassException: Cannot find class 오류 발생 원인 및 해결 방법로컬 환경에서 spring 프로젝트를 tomcat에 구동하는 과정에서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CannotLoadBeanClassException: Cannot find class'과 같이 bean을 로드하지 못했다는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잠깐 전까지만 해도 잘 동작하고 있던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그 사이 무언가를 잘못 건드렸을 거라고 생각하고 원인을 찾아보았는데요.* 'Project Clean...' 작업 및 'Server Clean...' 작업을 수행한 직후 발생하였습니다. Cannot find class 오류의 대상 클래스는 'root-context...

Programming/Error 2025.01.11

ORA-01653: unable to extend table in tablespace 오류 해결 방법

ORA-01653: unable to extend table in tablespace 오류 해결 방법 해당 포스팅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사용 중 데이터 insert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ORA-01653: unable to extend table in tablespace' 오류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정리한 것입니다. 오류가 발생한 원인*Cause: Failed to allocate an extent of the required number of blocks for a table segment in the tablespace indicated. 오류가 발생한 원인은 Cause 부분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테이블스페이스의 세그먼트(segment)를 할당하지 못했기 때문인데요.쉽게 말하면 해당 테이블..

Programming/Error 2024.11.20

Could not load JDBC driver class [org.h2.Driver] 발생 원인과 해결 방법

Could not load JDBC driver class [org.h2.Driver] 발생 원인과 해결 방법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dataSource' defined in ServletContext resource [/WEB-INF/spring/root-context.xml]: Error setting property values;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PropertyBatchUpdateException; nested PropertyAccessExceptions (1) are:PropertyAccessExcep..

Programming/Error 2024.08.11

(Jeus) The server adminServer initialization failed because of a stream closed error.

The server adminServer initialization failed because of a stream closed error.해당 문제는 ubnutu(20.04.6 LTS) 환경에서 jeus(8.5)를 설치하여 adminServer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입니다. 먼저 jeus가 설치된 디렉터리 하위 /bin 디렉터리에서 './startDomainAdminServer -u administrator -p 패스워드' command를 통해 adminServer를 실행하였습니다.(이때 실행 명령어 중 -u, -p 에서 사용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는 jeus 설치 시 설정한 값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Exception이 발생하며 adminServer 실행에 실패했는데요. Exc..

Programming/Error 2024.08.05

jar 실행 시 log4j2.xml 파일 못 찾는 경우 (ERROR StatusLogger No Log4j 2 configuration file found.)

jar 실행 시 /resources/log4j2.xml 파일을 못 찾고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로깅 구현체로 log4j2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src/main/resources/' 경로에 'log4j2.xml' 파일이 있어 이클립스 환경에서는 로깅이 정상적으로 동작했으나, 'Runnable Jar file'을 통해 jar 파일로 만들어 동작시켰을 때 resources 하위에 있는 Log4j2.xml 파일을 찾지 못하고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ERROR StatusLogger No Log4j 2 configuration file found. Using default configuration (logging only errors to the console), or user pr..

Programming/Error 2024.03.02

eclipse Spring Legacy Project 생성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

eclipse Spring Legacy Project 생성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 '이클립스 환경에서 Spring Legacy Project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아래 두 가지 오류와 해결 방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관련 오류들이 발생하는 가장 주된 원인은 eclipse와 java 버전이 호환되지 않아 발생하는 것이며, sts 버전에 따라서도 원인과 해결 방법이 다를 수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 오류가 발생했던 작업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macOS Monterey 12.5.1 버전 / eclipse 2022-03 (4.23.0) 버전 / Spring Tools 3 (Standard Edition) 3.9.14.RELEASE / Spring Tools 3 Add-On for Spring ..

Programming/Error 2024.01.07

(docker) maven:3.6.3-jdk-8: no match for platform in manifest

(docker) no match for platform in manifest 해당 에러는 Apple M1(Silicon) 환경에서 docker image를 build 하는 과정 중 발생한 문제입니다. M1 환경은 기본적으로 ARM 기반 아키텍처인데요. 때문에 해당 환경에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하면 platform이 'linux/arm64'로 생성됩니다. 발생한 에러 메시지인 'maven:3.6.3-jdk-8: no match for platform in manifest...'라는 문구를 통해 원인을 유추해 보면 'maven:3.6.3-jdk-8'을 사용하는데 platform이 맞지 않는다? 정도로 생각해 볼 수 있었는데요. 관련 정보를 찾아보던 중 일부 docker image에서 Apple M1 칩을 지원..

Programming/Error 2023.10.25

@RedisHash keyspace 사용 시 주의할 점 (RedisKeyValueAdapter)

얼마 전 @RedisHash를 통해 redis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Indexed 어노테이션을 통해 secondary index를 적용한 필드에 대해 ttl(time to live)가 적용되지 않는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하였는데요. 2023.05.26 - [Programming/Spring Boot] - RedisHash 사용 시 @Indexed 필드 TTL(timeToLive) 적용 안되는 문제 RedisHash 사용 시 @Indexed 필드 TTL(timeToLive) 적용 안되는 문제 @RedisHash @Indexed field ttl not working Spring Boot에서 @RedisHash + RedisRepository(CrudRepository를 상속받은)를 통해 인..

Programming/Error 2023.06.22

PropertyReferenceException: No property found for type 발생 원인과 해결 방법

PropertyReferenceException: No property found for type 발생 원인과 해결 방법 작업 중 'PropertyReferenceException: No property found for type' 예외가 발생하였고, 원인을 찾는데 한 시간이 넘게 걸렸지만 원인은 결국 아주 사소한 것(오타)이었는데요. jpa, querydsl을 사용하며 생각보다 자주 만날 수 있는 오류인 것 같았으며, 발생한 케이스 외에도 몇 가지 비슷한 경우가 있어 함께 정리한 내용입니다. (아래 예시에서 사용된 NoticeMember는 단순 예시를 위한 Entity 명입니다.) Caused by: org.springframework.data.mapping.PropertyReferenceExcepti..

Programming/Error 2023.06.17

(querydsl) cannot find symbol: javax.annotation.processing.Generated

QueryDSL cannot find symbol: javax.annotation.processing.Generated querydsl 사용 중 Q클래스를 생성한 뒤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 'javax.annotation.processing 패키지에서 Generated class를 찾지 못한다는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해당 오류는 지난번에도 한번 발생했었는데, 이번에도 같은 오류가 발생했고 오류의 원인이 궁금하여 내용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해결 방법 1. 첫 번째 시도 우선 첫 번째로 시도한 방법은 Q클래스의 import javax.annotation.processing.Generated 부분을 import javax.annotation.Generated로 수동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import jav..

Programming/Error 2023.04.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