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좌 거래내역 조회 API 외 다양한 홈택스 관련 API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로빌
회사는 인원이 많을수록 또 규모가 클수록 돈이나 세금과 관련된 처리가 많아지며, 업무 담당자는 경비 지출이나 분기별 결산 시기에 특히 처리해야 할 업무가 증가하게 됩니다.
때문에 계좌나 세금과 관련된 업무들을 기능으로 구현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지 않을까 하여 홈택스와 API 연동이 가능한지 알아보았으나 관련된 문서나 가이드를 찾기가 쉽지 않았는데요.
그러던 중 계좌 거래내역 조회 API, 카드 사용내역 조회 API 등, 다양한 홈택스 및 세금 관련 API를 제공하는 '바로빌'을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빌은 2009년부터 운영 중인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전문 기관이며, 국세청 표준인증을 획득한 검증된 전자세금계산서 ASP 사업자로 공공기관이나 대기업 등 약 20만 사업자를 고객사로 둔 업체인데요.
바로빌에 특히 관심을 가진 이유는 다양한 연동 API 제공도 있지만, 바로빌 개발자센터를 통해 각각의 API에 대한 상세한 가이드와 레퍼런스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Java, .NET, Python, Node.js, PHP 등 다양한 언어에 대한 샘플 소스가 지원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바로빌에서는 원활한 연동 개발을 위해 실제 운영환경과 동일한 '테스트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상세한 '가이드 문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문의에 대한 '기술지원'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작업하기가 훨씬 수월하다고 생각되었는데요.
전체적인 흐름에서의 API 연동은 '계정 생성 및 개발' -> '운영 전환' 단계를 통해 진행되며, 연동인증키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는 자칫하면 놓칠 수 있는 연동인증키 관리 부분까지 한번 더 신경 써준다는 점에서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었습니다.
1단계: 이메일 또는 소셜계정(네이버, 카카오, 구글)으로 개발자센터 계정 생성
2단계: 파트너 등록 후 인증키 및 제휴 정보 메뉴에서 '연동인증키' 확인
해당 소스코드는 바로빌에서 제공되는 '계좌 입출금내역 조회 API' 샘플 소스코드인데요.
요청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무엇인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응답 결과가 객체 형태로 반환되기 때문에 결과를 활용하기도 편하다는 장점을 바로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기본적인 입출금내역 조회 외에도 '일별 계좌 입출금 내역 조회', '월별 계좌 입출금 내역 조회' API가 따로 분리되어 있어 용도에 맞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마음에 들었으며 계좌 등록, 수정, 해지, 등록된 계화번호 조회 등 관련된 API도 소스코드가 파악하기 쉽게 구현되어 있어 짧은 시간으로 테스트 환경 구축을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계좌 거래내역 조회 API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각 은행별 '빠른조회 서비스'에 해당 계좌가 등록되어 있어야 하는데요.
빠른조회 서비스는 인증서 없이 인터넷뱅킹 또는 조회전용 아이디를 통해 간편하게 거래 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로, 해당 서비스가 미가입된 경우에는 계좌 거래내역 조회 API 수집이 실패됩니다.
또한 빠른계좌조회는 각 은행에 따라 '빠른조회', '간편조회', '스피드조회'등 명칭이 다를 수 있으며, 이 부분 또한 API 가이드에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바로빌에서 제공되는 API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는데요.
SOAP 메시지는 기본적으로 XML 형식으로 구성되며 WSDL, XML Schema 등 엄격한 표준으로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기업 시스템 간(B2B)의 통합에 특히 용이합니다.
또한 SOAP 메시지 자체에 디지털 서명, 암호화, 토큰 기반 인증 등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적인 측면에서 강력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빌 API 연동 테스트 환경을 구축해 보면서 느낀 점은 '쉽고 간편하다.' 였는데요.
실제로 API를 개발하고 개발한 API를 문서화하는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입장에서 바로빌 API 가이드와 샘플 소스코드는 주니어 개발자라도 쉽게 이해하고 연동할 수 있을 정도로 친절하게 잘 정리되어 있었습니다.
계좌 거래내역 조회나 세금계산서 등, 홈택스 관련 API 연동이 필요하다면 개발에 걸리는 시간과 인건비, 추후 유지보수 등을 고려하였을 때, 안정적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쉽게 연동할 수 있고 필요한 지원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바로빌 서비스를 도입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됩니다.
< 바로빌 서비스 문의하기 >
* 해당 게시물은 업체로부터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IT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플릿 키보드 키크론 Q11, Mistel MD770 사용 후기 및 차이점 비교 (3) | 2025.02.23 |
---|---|
키크론 키보드 VIA 매크로(MACRO) 설정 방법 (1) | 2025.01.07 |
(network) SYN Flooding 공격이란? 대응 방법은? (3) | 2024.11.05 |
Zero Width Space란? ZWSP 때문에 발생한 문제 (동일한 문자열이 다르다고 판별될 때) (1) | 2024.09.28 |
eclipse 이클립스 자주 사용되는 단축키 정리 (2) | 2024.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