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사진 외장하드 백업 방법 (외장하드 Photos Library 생성 방식)
128GB 용량의 아이폰을 5년 넘게 사용하다 보니 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두 적용해도 용량이 항상 부족했는데요.
특히나 사진이 용량을 너무 많이 차지하는데 그렇다고 쉽게 지울 수 있는 것도 아니라 이번에 맥에서 호환하기 쉬운 방법으로 외장하드 백업을 진행했습니다.
iCloud의 경우 커피 한잔 값(200GB 기준, 월 3,300원)일 수도 있겠지만 뭔가 그 정도로까지 필요한가 싶어서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1. 외장하드 백업 (Mac OS 확장 포맷으로 변경)
먼저 '디스크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외장하드의 포맷을 'Mac OS 확장(저널링)' 형식으로 변경하며 초기화를 진행했습니다.
*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지워지기 대문에 사용 중이던 외장하드의 경우 지워도 되는 데이터인지 확인 후 진행하셔야 합니다.
2. 외장하드 Photos Library 생성
이어서 'option' 버튼을 누른 상태로 '사진.app'을 열게 되면 다음과 같이 보관함 선택 창이 뜨게 되는데요.
하단의 '신규 생성...' 버튼을 통해 외장하드 경로에 신규 보관함을 생성합니다.
3. 외장하드 Photos Library 설정
다음으로 외장하드에 생성된 Photos Library 실행 후 'CMD + ,' 단축키를 통해 '설정'을 열어줍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사진 보관함으로 항목 복사'에 꼭 체크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인데요.
해당 옵션은 사진을 '사진 앱'으로 가져올 때마다 원본 파일을 Photos Library 패키지 안으로 복사하는 옵션으로, 외장하드의 Photos Library 안에 실제 이미지 원본이 저장되는 설정입니다.
4. 아이폰 연결 및 사진 가져오기
이어서 사진을 백업할 아이폰을 맥에 연결하고 가져올 이미지를 선택 '선택 항목 가져오기' 버튼을 통해 이미지를 외장하드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항목 삭제하기' 버튼의 경우 이미지 파일 이동 후 해당 파일을 아이폰에서 삭제하는 옵션인데요.
사진 백업 후 삭제 예정이시라면 해당 옵션을 사용해도 되며, 백업된 내용을 확인 후 직접 삭제하고 싶으신 경우 해당 부분의 체크를 제거하고 가져오기를 실행해 주시면 됩니다.
사진 데이터가 많은 경우 가져오는 시간이 어느 정도 소요될 수 있으며, 이후 사진이 백업된 외장하드에 추가적으로 사진을 백업하려는 경우 기존 사진들이 로딩될 때까지 일정 시간 대기 후 나머지 사진을 백업하는 것이 작업 수행에 원활합니다.
'IT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Cloud) Cloud Scheduler + Compute Engine API 활용한 인스턴스 자동 키고 끄기 (0) | 2025.10.18 |
---|---|
바로빌 계좌 거래내역 조회 API 등 다양한 홈택스 관련 API 연동 서비스 제공 (0) | 2025.04.24 |
스플릿 키보드 키크론 Q11, Mistel MD770 사용 후기 및 차이점 비교 (3) | 2025.02.23 |
키크론 키보드 VIA 매크로(MACRO) 설정 방법 (1) | 2025.01.07 |
(network) SYN Flooding 공격이란? 대응 방법은? (4) | 2024.11.05 |